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2022년 9월 3일 매일 경제 신문읽기

by No1 영's 2022. 9. 4.
728x90
반응형


7개월 만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로 내려앉았다.

물가가 주춤하면서 물가 정점이 가까워진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8월 물가 상승률이 둔화된 데는 국제 유가 하락이 크게 작용했다.

유가의 영향을 받는 공업제품 물가가 7월보다 내려갔고. 물가 상승률에 공업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물가 상승세는 둔화됐지만 달러당 원화값이 연저점을 경신하며 수입물가가 인상돼 국내 물가를 자극할 것이 우려된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값은 전날 종가 1354.9원 대비 7.7% 하락한 1362.2원으로 장 마감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광복절 복권 후 본격적인 경영 행보를 시작했다.

삼성전자의 ESG 전략 발표로 RE100 가입을 발표했다.

RE100은 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풍력 태양광 지열 같은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약속이다.

'친환경계획에 이어 올해를 스마트싱스 대중화 원년으로 삼겠다는 비전도 밝혔다. 진정한 캄 테크를 실현하겠다는 방침이다.

내년 말까지 대부분의 생활가전제품에 와이파이를 탑재해 제품 간 연결을 한충 강화하고 TV와 생활가전에 

HCA를 적용해 13개 회원사의 기기도 연동할 방침이다.

 

*캄 테크>> 캄(Calm)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조용한 상태에서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함. 대표적인 예로 현관 아래에 서면 자동으로 불이 들어오는 센서등 기술이다.

 

[삼성 관련기사]

 

 퀄컴 "삼성은 분리 불가 파트너 스냅드래건 갤럭시 조합 놀라워"

 

아몬 CEO  퀄컴 최고 경영자가 IFA에서 스냅드래건 8+Gen1을 소개하며 삼성전자와의 파트너십을 강조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도입한 수많은 스마트폰 제조사를 소개하면서 그중에서도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삼성'갤럭시 Z플립. 폴드 4 ' 유럽 출하량 두배 늘며 돌풍...

 

영국과 독일등 36 개국서 선보인 갤럭시 Z플립과 폴드 4 신작이 유럽시장에서 흥행을 이루고 있다.

이유로는 감각적인 디자인과 늘어난 배터리 용량을 꼽고 있다.

유럽은 미국과 함께 폴더블 프리미엄 폰시장 성장의 전초기지이다. 전작 대비 2배가 상승했고 이것은 풀 더블 폰의

대중화의 중요한 시그널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인 마이크론의 신규투자계획과 관련된 성명을 발표했다.

'미래에 전기차, 반도체, 광섬유 그리고 다른 중요한 부품을 미국에서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내 반도체 생산업체에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하는 반도체 지원법과 북미 생산 전기차에 한해 보조금을 지급하는 IRA가 지난달부터 시행되었다. 북미 밖에서 만들어지는 전기차에 대해서는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보조금 중단으로 가장 큰 손해를 보는 우리나라 대표회사는 현대차와 기아차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한국산 전기차의 보조금 차별 문제 해결에 한국 정부도 총력 대응을 나서고 있다.

 


'장관직을 걸겠다.'표현을 앞세워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재건축규제완화 방안을 골자로 한 마스터플랜 수립에 주력하고 있다. 수도권 1기 신도시를 둘러싸고 공약 파기라는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특별법 제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부동산 점문가들은  1기 신도시 투자 전략과 시장 전망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1. 1 주택자>> 보유 또는 상급지로 갈아타라 

   사업성 큰 중대형은 계속 보유하고 소형 평형 보유한 1 주택자라면 상급지로 갈아타기 고민해봐야 한다.

 

2. 무주택자>> 1기 신도시 입성을 노리는 무주택자라면 하락기인 지금부터 역세권 위주 입지가 좋은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를      적극적으로 노려라. 가파른 금리인상 추세가 주춤하고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한 시 유예 관련 물량들이 나올 수 있어

    내년 상반기가 매수 적기이다.

 

3. 유망 투자단지>> 1 기신 도시 중 가장 유망한 단지로 분당 시범단지 아파트를 꼽는다. 통합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어

     대규모 단지로 사업 서울 키울 수 있고 역세권 우수한 학권 등이 있어 실거주 여건도 매우 우수하다.

 

4. 시장 전망>>정부의 2024년 1기 신도시 마스터플랜 발표 예정과 금리인상으로 인한 최근 부동산 시장 하락과 맞물려

   1기 신도시 부동산 시장도 연말까지는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이다. 내년 상반기까지는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에 좌우될

   확률이 높고 하반기로 갈수록 개발과 규제완화 기대감으로 상승반전이 나타날 수도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