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국내외에서 품귀 현상 일고 있는꿈의 비만 치료제 기업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두기업 비교해보기.

by No1 영's 2023. 10. 1.
728x90
반응형

글로벌 제약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것으로 기대되는 비만치료제 시장에 대해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 Unsplash 의 Towfiqu barbhuiya

당뇨 치료제 시장에서 출발한 비만치료제 시장에서는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두 기업과 함께 사노피. 머크등

글로벌제약사들이 경쟁했지만 사노피, 머크등 두 기업이 연구방향을 선회하면서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가

사실상 시장을 양분하게 되었다.

국내외 증시 전문가들은 비만치료제 시장의 성장성과 경쟁력을 감안할 때 향후 두기업이 함께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

성장을 이끌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미국에만 1억 명 이상의 성인 비만환자가 있는데 이들을 대상으로 한 약물치료비율[침투율]은 3%도 안되기 때문이다.

 

 

 

미국장기채금리상승으로 최근 글로벌 증시가 조정을 받은 가운데 일라이릴리, 노보노디스크 등 관련 기업매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기업은 비만치료제 시장 성장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실적, 제품군, 밸류에이션등에 차이가 있어

투자자들의 꼼꼼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최근 국내개인투자자들의 일라이릴리 순매구액이 전월동기대비 두 배가량 늘었다.

순매수 종목 순위는 17위에서 10위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 순위는 50위권 밖에서 16위로 올랐다.

두기업은 글로벌 제약업계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일라이릴리의 마운자로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는 국내외에서 품귀현상을 빚을 정도로 수요가 늘고 있다.

최근 미국 장기채금리상승으로 글로벌 증시가 전반적으로 조정을 받고 있지만

국내외 투자자들이 비만치료제 기업들에서는 자금을 덜 회수한 것도 이 같은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달 새 일라이릴리 주가는 0.29% 노보노디스크주가는 1.44% 각각 하락했다.

이는 S&P500 지수의 하락률인 2.16%보다 낮다.

노보노디스크는 미국증시에 주식예탁증서[ADR]로 상장돼 있다.

 

실적과 제품포트톨리오 밸류에이션 측면에서는 투자자들이 눈여겨봐야 할 차이가 있다는 분석이다.

두기업 중 실적은 노보노디스크가 소폭 앞선다.

지난해 매출액은 일라이릴리 285억 달러, 노보노디스크 약 250억 달러로 일라이릴리가 더 높은 반면

순이익은 일라이릴리 62억 4000만 달러, 노보노니드스 약 79억 달러로 노보노디스크가 높다.

시가총액은 25일 기준 일라이릴리 5243억 달러, 노보노디스크는 약 3100억 달러로 일라이릴리가 70%가량 높다.

올 들어 주가 수익률에서는 일라이릴리 51% 노보노디스크 36%로 일라이릴리가 높다.

 

이는 두기업이 상장된 시장과 제품 포트폴리오에서 나타나는 차이로 보인다.

일라이릴리가 상장된 뉴욕증시는 제약사들에 대해 부여하는 밸류에이션이 유럽에 비해 더 높다는 평가다.

일라이일리는 12개월 선행주가수익비율[PER]이 49.2배 수준으로 대형 미국제 약사평균인 18.6배 대비 프리미엄을

적용받고 있으며 노보노디스크는 12개월 선행 [PER]17.7배 대비 프리미엄을 적용받고 있다.

제약사들의 주가에 부여되는 PER자체가 유럽에 비해 미국증시가 높은 데다 투자자들이 일라이릴리 기업가치에 부여하는 프리미엄이 더욱 높다는 것이다.

다만 높은 주가 프리미엄은 주가가 고평가 됐다는 시그널로도 받아들여질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품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일라이릴리가 노보노디스크에 비해 다양하다.

일라이릴리가 노보노디스크에 비해 다양하다.

일라이릴리는 매출에서 60%를 차지하는 당뇨 관련의약품 외에도 항암제[20%] 신경제[4%] 면역계[11%]등

다양한 부문의 제품포트폴리오를 갖고 있다.

 

노보노디스크는 당뇨케어[73%] 비만케어[19%] 희귀 질환[8%]등으로 포트폴리오가 다소 편중되어 있다.

실제일라이릴리는 비만치료제외에도 알츠하이머신약. 도나네맙이 연말 미국식품의약국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파이프라인이 높은 PER을 인정받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당뇨병치료제 시장만 놓고 보면 노보노디스크의 시장점유율이 높다.

노보노디스크가 지난해 기준 점유율 49% 일라이릴리의 34%보다 앞선다.


일라이릴리의 경우 올해 주가 단기모멘텀이 될 수 있는 이벤트가 많다.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보다 더 효과적인 일라이릴리의 비만시약 턴제 파타이드[제품명 마운자]가 연말 FDA 승인과

출시를 앞두고 있다.

올해 5월에 FDA신청을 완료했다고 가정했을 때 이르면 11월 늦어도 12월에 승인이 예상되며 승인과 동시에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