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사회초년생 등 저소득 청년 대상 전세 보증 보증료 최대 30만원지원

by No1 영's 2023. 8. 23.
728x90
반응형

사회초년생등 저소득 청년들을  전세사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청년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지원 사업을

2023년 7월 26일부터 전국에 동시 시행한다.

 

사진: Unsplash 의 Tim Mossholder

전세사기에 노출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큰 청년, 신혼부부 등의 전세보증 가입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지원대상★★

연소득 5천만 원/신혼부부 7천만 원 이하

전세보증금 3억 원 이하

2023년 1월 1일 이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HUG, HF, SGI가입

무주택자[분양권, 입주권 보유 시 신청불가]

시도 지자체 조례에서 정하는 청년

● 청년 연령 경기, 부산 만 34세 이하, 전남 만 45세 이하, 그 외 만 39세 이하 ●


신청인이 보증가입 HUG, HF, SGI후 보증기관에 보증료를 납부하고 임차주택 주소지 관할 지자체에 지원산업을 신청하면

심사를 거쳐 지자체가 최대 30만 원까지 신청인계좌로 보증료를 환급한다.

●납부한 보증료가 30만 원 이하인 경우 보증료전액, 30만 원 초과인 경우 30만 원까지 지원

 

★★신청가능한 주택유형 ★★

 HUG, HF, SGI 전세금반환보증에 가입 가능한 주택유형은 모두 신청이 가능하다.

HUG, HF아파트, 주거용 오피스텔, 연립. 다세대 및 단독다중다가구주택, 노인복지주택

SGI아파트, 주거용 오피스텔, 연립. 다세대 및 단독다중다가구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제외대상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등록임대사업자의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임차인

임차인이 법인인 경우/회사지원숙소등]

그밖에 해당지자체장이 지원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주소지 관할  시, 군. 구청등을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으며 온라인 접수 시스템이 구축된 지자체 경우 온라인으로 접수가능하다.


★★제출서류 ★★

보증료지원신청서 및 서약서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증서

보증료납부증빙서류[납부액기재]

임대차계약서

부동산등기사항 전부증명서

본인명의 통장사본

주민등록등본 및 혼인관계증명서

전년도소득금액증명원

기혼자는 배우자의 소득증빙서류제출필수


 

전세계약이 만료된 경우에는 보증료지원을 받을 수 없다.

대상자 요건, 접수처등 사업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국토교통부 민원 콜센터☎1599-0001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청년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지원 사업을 통해 전세사기에 취약한 사회초년생을 보다 두텁게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