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새차사고싶은데 구매신청후 언제 받을수있을까?차량별출고대기기간

by No1 영's 2023. 3. 22.
728x90
반응형

2년 안팎에 이르렀던 인기차종의 출고대기기간이 이달기준 1년 내 외로 줄어들었다.

사진: Unsplash 의 Dan Gold

고금리상황이 계속되면서 신차 출고 대기기간이 가파르게 줄어들고있다.

신차구매계약을 걸어 뒀다가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차량용 반도체 품귀현상이 해소되기 시작하면서 한때 2년 안팎에 이르렀던 인기차종의 출고 대기 기간은

이달기준  1년 내외로 줄었다.

 

20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차종에 따라 수십 개월에 달하던 출고 대기 기간이 올해 들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현대자동차 그랜저는 지난해 12월 2.5 가솔린 모델기준출고대기기간이 11개월에 달했지만 이달 기준으로는

5개월 수준으로 줄었다.

대표적인 전기차모델 아이오닉 5의 출고 대기기간은 작년 말 12개월에서 이달 6개월로 줄었다.

기아 K5 [1.6T 가솔린모델 기준]의 출고 대기기간도 같은 기간 9개월에서 4개월로 줄었다.

 

 

이처럼 신차출고 대기기간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수요가 감소하는 가운데 공급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신차출고대기시간이 줄어드는 이유

 

이유 1. 차량할부금리 현재 8%

지난해 초 연 2-3% [36개월 기준] 수준이던 신차할부금리는 현재 8% 내외로 뛰었다.

자동차할부금리는 계약시점이 아닌 출고 당시 고정금리로 정해진다.

지난해 신차구매를 계약했다가 올해 차량을 인도받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면 이자부담이 3-4배 커져 실제구매가격이

늘어나게 됐다.

 

이유 2. 법인소비자들의 구매계약취소사례 늘어남

렌터카업체 등 법인소비자들의 구매계약취소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신차출고 대기기간이 줄어들고 있는 요인이다.

자동차판매영업점직원은 렌터카 업체가 대량으로 차량을 발주한뒤 할부금리가 부담된다면서 계약을 파기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고 전했다.

 

이유 3. 차량용 반도체공급난 완화에 따른 생산차질해소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 완화에 따라 생산차질이 해소되고 있다는 점도 신차출고 대기기간이 짧아지는 이유로 꼽힌다.

하이브리드 모델등 인기 차종의 출고 대기 기간은 여전히 1년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싼타페하이브리드 모델의 출고 대기기간은 지난해 12월 20개월 이상에서 이달 14개월로 줄었다

쏘렌토하이브리드모델도 같은 기간 18개월에서 16개월로 2개월 단축되는데 그쳤다.

 

소비자입장에서는 신차 출고 대기시간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은 환영할만한 소식이지만 완성차업체분위기는 다르다.

완성차업체는 대기고객이탈방지를 위한 방안으로 고심하고 있는데 기아는 신차출고를 기다려준 이들을 위해

고객보답프로그램[기아베네핏플러스]을 올해 말까지 운영한다.

음원스트리밍 서비스[지니] 방송. 영화. 해외시리즈등 영상 콘텐츠서비스[웨이브]등을 제공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