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자산 300억 원 이상 또는 금융자산 100억 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슈퍼리치 [초고액 자산가] 들이 향후 투자할 의향이
있는 자산 1순위는 모두 주식이었다.
9일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서 2023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를 발간했다.
지난해 12월 하나은행 PB [프라이빗뱅커]와 PB 고객 21명을 인터뷰하고 2013명[부자 745명 대중 부유층 818명,
일반대중 450명]을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해 작성되었다고 한다.
보고서는 슈퍼리치에 더해 금융회사와 거래하고 있는 사람 중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은 부자로,
1억 원 이상 10억 원 미만은 대중부유층으로 정의했다.
총 자산 300억 원 이상 또는 금융자산 100억 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슈퍼리치 4 명중 1명은 MBTI [성격유형검사]가
ESTJ였다. E는 외향형, S는 감가형, T는 이성적, J는 계획적인 성격을 의미한다.
금융자산규모가 클수록 T는 이성적, J는 계획적인 사람들의 비율이 높았다.
일반대중사이에서 ESTJ비율은 8.5%에 불과하나 슈퍼리치 중에는 이보다 3배 이상 많은 26.7%로 나타났다.
ESTJ는 흔히 지도자형, 경영자형으로 불리는데 사회적인 질서를 중시하면서 현실적이고 추진력이 있다고 평가받는다.
슈퍼리치의 연평균 소득은 약 12억 원이고 이중 재산소득의 비중이 39%로 약 5억 원으로 가장 높았다.
일반부자는 연소득 중 근로소득이 37% 비중으로 재산소득 22%보다 높다.
슈퍼리치는 월소득의 절반 57%은 저축을 하고 나머지 37%는 소비하고 6%는 대출상환에 사용했다.
일반부자가 소비에 59% 저축에 38%로 슈퍼리치의 저축여력이 더 컸다.
슈퍼리치의 직업은 기업경영인과 전문직 비중이 높았다.
이들 중 29%는 기업경영인이고 의료 및 법조계전문직이 20% 부동산임대업자 12% 기업체임원 12% 순이었다.
회사원은 2%에 불과했고 공무원은 없다.
슈퍼리치의 평균자산은 323억 원으로 전년보다 50억 원이 줄었다.
자산구성은 금융자산이 50% 부동산은 48% 기타 회원권, 귀금속 예술품은 2%이다.
금융자산은 2022년 말 기준으로 60%를 현금 및 예금으로 보유하고 있고 금융자산 중 주식비중은 전년 455에서
지난해 16%로 감소했다.
슈퍼리치가 향후투자할 의향이 있는 자산순위 1위로는 주식 29%이다.
부동산 27% 예금은 15% 순이었다. 투자자산으로 선호하는 것은 미술품이다.
슈퍼리치의 미술품 보유비중은 약 41%로 일반자 23%나 대중부유충 14% 대비 높은 수준이다.
슈퍼리치의 70%는 금융자산투자를 통해 플러스수익률을 냈으며 10% 이상의 고수익을 달성한 슈퍼리치도 15%에
달했다. 슈퍼리치의 약 60%가 올해 기대수익률로 5-10%로 잡고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20% 이상을 목표로 잡은
슈퍼리치도 있다.
과거 외환위기나 글로벌금융위기 및 코로나19 팬데믹위기까지 모든 위기 속에서도 부의 기회가 있다며 그 기회를 잘
읽어낸 사람들이 뉴리치, 슈퍼리치가 될 수 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목표주가 상향조정-외국계8만전자,국내는9만전자로 높였다. (0) | 2023.04.14 |
---|---|
6월 등장예정인 애플의 신형 혼합현실 [Mixed Reality.MR]헤드셋 (0) | 2023.04.12 |
테슬라가 관심을 보이는 한국 배터리.소재업체는 어디일까? (0) | 2023.04.07 |
불황에도 럭셔리명품주가 통했다. 올해20%오른 명품관련ETF들 (0) | 2023.04.06 |
달러투자하고 매일이자 받을수 있는 국내 첫 ETF가 출시되었어요. (0) | 2023.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