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카카오, 네이버, 등 소위 국민주들이 지난해 부진을 씻고 올해 하반기부터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적이 바닥을 찍고 올해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투자 심리가 개선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국내 주식 시장에서 개인 소액주주가 가장 많아 국민주로 불리는종목들이 지난해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11일 키움증권에서 따르면 키움증권을 통해 주식에 투자한 개인투자자들이 지난해말 기준 가장 많이 보유한
상위 5개 종목은
삼성전자[114만명]
카카오[41만 명]
현대차[21만 명]
네이버[20만 명]
SK하이닉스[18만 명]
순이었다.
개인투투 자자들은 이들 종목을 보통 6개월 초과-2년 이하 동안 보유했지만 지난해 증시 부진에 따라
적게는 -20% , 많게는 -47% 에 달하는 평균 수익률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카카오와 네이버등 인터넷주를 보유한 개인투자자의 평균수익률은 지난해 말 기준 각각 -47% -41%였다.
삼성전자의 평균수익률은 -20%를 기록했다. 현대차[-24%] SK하이닉스[-25%] 등도 수익률이 부진했다.
코스피가 올해 들어 6 거래일만에 5% 이상 상승하면서 국민주들도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
삼성전자, 카카오, 네이버등의 국민주들이 지난해 부진을 씻고 올해는 상승할 것인지 전망에 대해 알아봤다.
삼성전자
지난 10일 기준으로 삼성전자는 8.84% 올랐다.
4분기 실적 부진에도 하반기 실적 반등 전망에 주가가 올랐다.
지난해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불황이 시작되면서 D램 현물 가격이 40% 넘게 급락하면서 지난 6일 삼성전자가
발표한 지난해 4분기 실적도 부진했다. 영업이익도 69% 떨어졌지만 올해 하반기 D램가격하락과 함께 물량도
바닥권에 들어와 재고 피크아웃[정점통과] 기대가 높아지면서 메모리 반도체 업황침체기가 끝나 삼성전자 주가가
반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네이버
지난 10일 기준으로 네이버는 7.52% 올랐다.
지난해 주가가 반토막 났던 네이버 주가를 끌어내렸던 악재가 완화될 것으로 보이며 절대적 주가 수준 또한 크게
낮아졌다고 판단하면서 1분기에 의미 있는 실적반등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다.
다만 2년간 가파르게 높아진 인건비, 마케팅비등 고정비 부담 요인이 완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올해 10일 기준 기관투자자가 781억 원, 외국인투자자 742억 원 순 매수했다.
카카오
지난 10일 기준으로 15.18% 올랐다.
카카오는 주요 수익원인 톡비즈 사업 성장률이 2분기부터는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카카오톡은 친구탭 비즈보드 광고 활성화, 추가 인벤토리개설, 선물하기 연계강화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오픈채팅기능도 강화해 2분기부터 성장률이 좋아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올해 10일 기준 기관투자자 1726억 원
외국인투자자 296억 원어치 사들였다.
현대차
지난 10일 기준으로 3.82% 올랐다.
현대차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차질이 해소돼 생산이 정상화되면서 고마진 차량의 국내외 판매가 늘어나면서
실적개선이 되고 있다. 지난달 29일 미국 재무부가 한국산 전기자동차 리스등 상업용으로 판매할 경우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한 인플레이션감축번[IRA] 전기차 세액공제 규정 추가 지침을 공개한 것도 호재로 작용한다.
하지만 이자비용 상승, 중고차 가격하락등 영향으로 금융 부분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올해 주가가 다소 주춤할 것으로
내다봤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19일 매일 경제 신문 읽기 (1) | 2023.01.19 |
---|---|
2023년 1월 18일 매일 경제 신문 읽기 (0) | 2023.01.18 |
국민건강보험료 환급금 조회해서 숨어있던 내돈 찾아보세요. (0) | 2023.01.14 |
뚜레쥬르 생일케이크 앱테크로 모은 포인트 이용해 구입하기. (0) | 2023.01.08 |
2023년 1월 5일 매일 경제 신문 읽기 (0) | 2023.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