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를 비롯해 자동차 가전 2차전지[배터리] 금융 등 5대 업종의 국내 톱 주식과 해외 톱 주식 [실적발표완료기준]을 비교해 본 결과를 통해 확인 됐다. 블룸버그와 금융감독원, 각 사의 내부자료를 인용했다.
28일까지 발표된 올 1분기 성적표를 뜯어보면 전통의 강자들인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주춤한 반면 그 바통을
기아와 LG전자가 넘겨받은 것으로 보인다.
기아와 LG전자가 경기 침체라는 위기 국면을 오히려 가속 페달로 삼아 불황의 터널을 빠르게 빠져나오면서 한국증시의
새로운 투톱으로 부상 중이다.
기아와 LG전자는 강력한 영업이익률을 각각 테슬라와 월풀을 따돌리며 주로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서학개미들까지
주목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격차를 벌리려면 몸집이 가벼워야 하는데 국내 상장사들은 강력한 노조 등 인건비 등
비용부담으로 무거운 편이다. 이런 편견을 깨며 1년 새 매출대비 판매관리비비중을 낮춘 LG에너지 설루션은 중국 CATL을 맹추격하고 있다.
반도체를 비롯해 자동차 가전 2차전지[배터리] 금융 등 5대 업종의 국내 톱 주식과 해외 톱 주식 [실적발표완료기준]을
비교해 본 결과를 통해 확인 됐다. 블룸버그와 금융감독원, 각 사의 내부자료를 인용했다.
자동차부문> 기아
1분기 자동차 업종에선 이변이 일어났다.
기아의 영업이익률이 현대차는 물론 테슬라까지 따돌린것이다.
기아는 23조6907억원의 매출에 2조 9740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이익률 12.1%를 기록했다. 한대당 매출은 3000만 원을 넘어서면서 과거의 박리다매식 영업에서 벗어났다. 2조 8740억 원의 이익을 올릴 동안 판관비로 2조 4990억 원을 써 비용보다 이익을 더 내며 중장기 성장 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판고나비는 제품을 판매하는 활동에 들어가는 모든 비용이다.
인건비 비중이 가장 크며 임차료 감가상각비 등도 포함된다.
현대차는 기아보다 매출과 이익을 더 많이냈지만 판관비 역시 더 많이 사용하며 비효율적 횡보를 나타냈다.
국내차 업종 시가총액 1위기업은 1분기에 이익 3조 5927억 원, 판관비 4조 1290억 원을 기록하며 기아와 현대차의
매출대비 판관비비중은 10.5% 10.9%이다.
전 세계자동차 브랜드 중 시총이 가장 큰 테슬라는 1분기에 연속적인 차 가격인하로 영업이익률 11.4%에 그쳤다.
2022년 1분기 19.2%에 달하던 테슬라 이익률이 1년 새 7.8% 포인트 깎일 동안 기아는 3.3% 늘었다.
기아가 현대차 그룹의 일원으로서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등 그룹 내 부품회사의 마진을 줄여 자신의 이익률을 높였다는
지적도 있다. 현대모비스의 1분기 영업이익률은 2.9%에 그쳤다.
기아의 고성능 엔진이 빛을 발하려면 차무게를 줄여야 하는 숙제도 남겼다. 매출의 10%를 판관비로 쓰는 구조로는
테슬라에 다시 추월당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가전부문> LG전자
1분기 실적은 삼성 그룹 대신 LG의 시대가 올 것을 암시하고 있다.
LG전자는 매출 20조 4178억 원에 영업이익 1조 4974억 원으로 고작 6400억 원의 이익을 올린 삼성전자에 완승했다.
오랜 가전 맞수인 미국의 월풀과의 정면 대결에서도 승리하며 쾌조의 실적을 올렸다.
월풀과 비교대상 사업부인 LG전자가전 매출을 8조 217억 원 이익 1조 188억 원으로 영업이익률 12.7%다.
월풀은 같은 기간 이익률이 5.7%에 그쳤다. 작년 1분기 영업이익률은 월풀 9.5% LG전자 가전 8.9%였다.
LG전자 가전사업부의 매출이 드디어 월풀을 제쳤다며 감격했지만 이익률은 낮아서 이를 극복해야 한다는 소리도
나오고 있다.
남은 과제는 판관비 비중을 낮추는 것이다.
LG전자 주가는 올 들어 4월 27일까지 24.8% 올랐꼬 같은 기간 월풀의 주가는 10.2% 하락했다.
주가수익비율 PER은 LG 15.68배 월풀은 34.42배로 LG전자가 크게 저평가된 상태이다. 월풀의 배상수익률은 5.4%로
LG전자 0.7%보다 배당주로서 자리매김하는 모습이다.
2차 전지[배터리] 부문> LG에너지설루션
LG그룹의 주역 LG에너지설루션도 놀라운 성장세를 보여줬다.
1분기 매출은 1년 새 2배가량 불어난 8조 7471억 원, 영업이익은 2.4배 증가한 6331억 원을 기록했다.
올 1분기 영업이익률은 7.2%로 작년 1분기 6%보다 높아졌다.
LG에너지설루션의 고속성장에도 경쟁자 중국 CATL이 초고속 성장세를 보여 격차는 벌어지고 있다.
중국정부의 전포적 지지로 중국 내 배터리를 독식하는 것은 기본이고 테슬라를 장기 성장 파트너로 삼은 것이
성장을 가속화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CATL의 이번분기 이익률은 11.1%로 LG에너지설루션보다 높다. LG에너지솔루션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로
판관비 비중은 5%대를 유지했다. 작년 1분기 5.7%에서 올 1분기 5.4%로 낮췄다.
LG에너지설루션 역시 같은 기간 비용 부담이 10.2%에서 8.7%로 낮아져 몸집을 가볍게 했다.
1 등주와 비슷한 행보를 보인 LG에너지설루션주가는 올 들어 31.6%나 올랐다. LG에너지설루션의 PER이 131.7배로
치솟은 것은 투자자들에게 부담으로 다가온다. CATL은 LG에너지설루션과 배터리 시장점유율을 나눠 갖게 된 것이
기정사실이 되면서 올 들어 주가가 6.6% 오르는데 그쳤다.
반도체부문> TSMC
1분기 TSMC 영업이익률이 45.5%로 1년 전 45.7%처럼 유지되면서 삼성전자와의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이익률은 18.2%에서 1%로 급전직하했다. 박리다매 형식의 메모리사업[삼성전자]과 후리소매구조의 파운드리[TSMC]의 차이이다.
삼성전자는 몸집도 무거운 편이다. 매출대비 판관비비중은 올 1분기에 26.8%에 달한 반면 TSMC는 3.2%이다.
다른 업종 대표주보 나는 높은 편이다.
금융부문> KB금융
금융업종은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으로 투자심리가 급락했다가 금융전체 위기가 지나갔다는 애기가 나오면서
최근회복세를 타고 있다. 금융에서는 KB금융과 뱅크오브아메리카가 비교대상이다.
KB금융의 1분기 순이익은 1조 4976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5% 상승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같은 기간 순이익 15.3% 늘어 성장성에선 뱅크오브아메리카가 높다.
배당투자자 입장에서는 KB금융이 좋은 편이다.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배당수익률은 KB금융이 6.2%이고
뱅크오브아메리카는 3.0%으로 KB금융이 2배 이상이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살뜰 앱테크로 환율100%우대적용 환전하기 >하나머니활용하기 (0) | 2023.05.16 |
---|---|
소금의주성분으로 만든 나트륨배터리 가성비에 낮출수있을까? (0) | 2023.05.11 |
1월2일 -4월21일 외국인투자자들의 순매수 1위기업은 어디일까? (0) | 2023.04.27 |
중국 리오프닝 수혜받고 있는 루이비통모에헤네시 유럽 첫 시총 5000억弗 달성했다. 25일 국내에서는 명품에 투자하는 ETF를 상장했다. (0) | 2023.04.27 |
꿈틀거리는 이더리움 투자전략은 어떻게 세워야할까? (0) | 2023.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