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상승과 미분양 증가로 부동산 시장 침체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내년 집값이 전국 평균 2.5%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내년에 수도권은 2% 지방은 4% 내려갈 것이라 예측했는데, 경기 둔화에 따른 매수심리 호전을 기대할 수 없어 내년에 집값 하락 체감도가 올해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부가 최근에 내놓은 주택담보대출규제완화등으로 어느 정도 집값 하락을 방어할 수 있을 것이며
수도권 일부 지역에 대한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추가로 발표한다면 하락폭이 줄어들 것이라고 한국 건설 산업연구원은 밝혔다. 전셋값은 매수 침체와 월세 상승 영향으로 전세 유입이 늘어 내년에는 평균 0.5%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택담보대출금리와 원자재 가격은 급등하고 집값은 떨어지면서 내년에 신규 주택분양은 대폭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다.
정부가 최근에 부동산 시장 연착륙에 나서고 있지만 금리인상으로 인한 주택수요 침체를 되돌리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 가 잇따르면서 과감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7월 6.3%로 정점을 찍었나 싶었던 소비자 물가지수가 석 달만인 지난달 다시 상승폭을 키우면서 서민경제에
비상등이 켜졌다. 물가상승폭 확대는 국제유가, 식료품. 고물 가격 급등보다 하방경직성이 높은 서비스물가상승이 주요인이라는 점에서 인플레이션 부담이 더 크다.
한번 오르면 떨어지기 어려운 개인 서비스 물가는 올해 들어 심상치 않은 상승세를 그리는 중이다.
작년 10월 2.7%에서 올해 9월 사이 약 2.4배 올랐다. 외식물가는 같은 기간 3.2%에서 3배 가까이 뛰었다.
겨울철 수요가 증가하는 전기. 가스. 수도요금도 불안요소다. 지난달 전기. 가스. 수도가 23.1% 올라 해당 품목의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0년 1월 이후 가장 높았다.
경제계에서는 물가 급등에 가계 실질구매력이 줄며 소비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근로자 급여보다 물가가 오르는 속도가 더 빨랐다.
KODEX KOFR 금리 액티브[합성] ETF의 순자산총액이 지난달 말 기준으로 지난해 11월부터 1년간 2위 자리를 지켜오던
TIGER 차이나 전기차 SOLACTIVE와의 순위를 바꿀 만큼 급성장했다.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로 증시 부진이 계속되며 국내 코스피 대형주와 중국 전기차 시장 관련주 가는 우하향 곡선을 그린 반면 KOFR ETF는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제공하는 파킹 통장으로 입소문을 탔기 때문이다.
KOFR ETF는 한국무위험지표금리지수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상품으로 만기가 1일인 상품을 다루기 때문에 매일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고 증권사 예탁금보다 높은 수익을 제공한다는 강점이 있다.
2일 한은은 물가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내년 1분기까지 물가상승률이 5%대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수요 측 물가 압력을 반영하는 개인 서비스물가는 당분간 6%대 상승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했다.
국내외 경기의 하방압력 증대 등 하방리스크와 고환율, 산유국 감산 확대 등 상방 리스크가 혼재해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금리인상폭을 두고선 물가 안정을 우선 목표로 하면서도 한미 간 금리차 환율 경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미국은 다음 달에도 FOMC가 예정돼 있지만 한은은 이달 금통위가 올해 마지막인 것도 변수이다.
이에 한은이 이번 달에 빅 스텝을 밟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일 중고차 플랫폼 기업 케이카는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 유통되는 출시 12년 이내 국산. 수입 740여 개 모델을 대상으로 11월 평균 시세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신차 급전 기차와 하이브리드 중고차는 신차 출고 지연으로 인해 신차 수요를 흡수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기 중고차종은 신차 가격 대비 10-15% 높은 가격에 판매되는 가격 역전현상을 나 타태 기도 했었지만 금리와 물가가 모두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소비심리가 악화됐고 중고차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됐다.
국산차모델으 하락비율은 전월 35%에서 52%.. 수입차 하락비율은 39%에서 62% 포인트 높아졌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11월 05일 매일 경제 신문 읽기 (0) | 2022.11.05 |
---|---|
2022년 11월 04일 매일 경제 신문 읽기 (2) | 2022.11.04 |
2022년 11월 02일 매일 경제 신문 읽기 (0) | 2022.11.02 |
2022년11월01일 매일 경제 신문 읽기 (0) | 2022.11.02 |
2022년 10월 티끌모아 태산 앱테크 결산하기. (0) | 2022.11.01 |
댓글